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신 비과세 혜택 총정리

by 무스총재 2025. 2. 24.

 

2025년이 되면서 세법과 복지 혜택에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을 잘 활용하면 가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에 달라진 주요 비과세 혜택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확대

 

무주택 근로자분들께 희소식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소득공제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근로자는 납입액의 40%를 최대 300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


📌 자녀 세액공제 확대

자녀를 둔 가정의 세액공제가 늘어났습니다.

첫째 자녀는 20만 원, 둘째는 40만 원, 셋째부터는 추가로 30만 원씩 공제됩니다.

다자녀 가정이라면 큰 혜택을 받을 수 있겠죠? 👶👧🧒


📌 의료비 세제 지원 강화

6세 이하 자녀의 의료비에 대한 공제 한도가 사라져, 지출한 의료비를 전액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산후조리비 공제 한도도 연 700만 원으로 상향되어 출산 가정의 부담을 덜어줍니다. 🏥


📌 결혼세액공제 신설

 

2024년부터 2026년 사이에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각각 50만 원씩, 최대 1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혼을 계획 중이시라면 꼭 기억해 두세요! 💍


📌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

 

출산과 보육을 지원하기 위해 수당의 비과세 한도가 월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기업에서 지급하는 출산지원금도 2회까지 전액 비과세로 적용됩니다. 👶


📌 신용카드 사용 추가 공제

전년 대비 신용카드 사용 금액이 5% 이상 증가한 경우, 그 증가분의 10%를 최대 100만 원까지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소비를 늘리신 분들은 꼭 챙기세요! 💳


📌 장기주택담보대출 소득공제 확대

무주택자를 위한 장기주택담보대출의 소득공제 한도가 최대 2,0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또한, 공제 대상 주택의 공시가격 기준도 6억 원으로 높아져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결혼세액공제는 혼인신고를 해야만 받을 수 있나요?

네, 혼인신고를 완료해야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혼인신고일이 2024년부터 2026년 사이여야 합니다.

 

Q2. 자녀 세액공제는 손자녀도 포함되나요?

네, 2025년부터 손자녀도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조부모와 함께 거주하며 부양하는 경우 적용됩니다.

 

Q3. 월세 세액공제는 전세 거주자도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월세 세액공제는 월세로 거주하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그러나 전세 대출이자 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는 별도로 받을 수 있습니다.

 

Q4. 산후조리비 공제는 의료비 공제와 별도로 신청해야 하나요?

산후조리비는 의료비 세액공제 항목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의료비 공제 신청 시 산후조리비 지출 증빙서류를 함께 제출하시면 됩니다.

 

Q5.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체크카드도 포함되나요?

네,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 금액도 포함됩니다.

다만, 공제율은 신용카드보다 약간 낮습니다.


 

여러분은 이번에 달라진 비과세 혜택 중 어떤 것이 가장 유용하신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

 

2025년의 새로운 비과세 혜택들을 잘 활용하셔서 가계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