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초등학교 교육급여 신청 방법 총정리(2025년 최신)

by 무스총재 2025. 4. 2.

초등학교 교육급여 신청 방법

 

 

"연간 48만 7천 원, 놓치면 손해!" 지금 바로 알아보는 2025 교육급여 지원 꿀팁

 

새 학기를 맞이하면서 이것저것 준비할 게 많으시죠? 저도 얼마 전 조카 학교 준비물 사러 다니다가 깜짝 놀랐어요.

학용품 값이 생각보다 너무 오르더라고요. 그런데! 이럴 때 정말 도움이 되는 게 바로 교육급여입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시행되는 이 제도, 그냥 지나치면 진짜 아까운 혜택이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들이 꼭 알아야 할 교육급여 지원 내용과 신청 방법, 신청 기간까지 전부 정리해 드릴게요!

1. 교육급여 대상자 및 선정 기준

교육급여 신청 자격 및 방법

 

2025년 교육급여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등록된 초등학생이 대상입니다. 가장 큰 기준은 ‘소득’으로,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가 해당돼요.

특이한 점은 부모님의 소득이나 재산은 따지지 않는다는 것! 학생 본인의 가구 소득만 따지기 때문에, 혼자 거주하거나 조손가정 등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구원 수 소득 기준 (월)
1인 1,114,222원 이하
2인 1,841,305원 이하
3인 2,357,328원 이하
4인 2,864,956원 이하
5인 3,347,867원 이하
6인 3,809,184원 이하

2. 2025년 교육급여 지원 내용 총정리

2025년에는 초등학생 1인당 48만 7천 원의 교육활동지원비가 제공돼요. 2024년보다 26,000원이 인상된 금액이죠.

이 지원금은 바우처 형태로 지급되며, 온라인·오프라인 서점, 학용품점, 강의 플랫폼 등에서 사용할 수 있어요.

지원 항목 사용 가능 예
교재 및 도서 서점, 인터넷서점 (YES24 등)
문구 및 학습용품 오프라인 문구점, 다이소, G마켓 등
온라인 강의 EBS, 클래스101, 밀크T 등
방과후학교 활동 학교 방과후 교실 수강료

3. 신청 기간과 온라인/오프라인 신청 방법

집중 신청 기간은 3월 4일(화)부터 3월 21일(금)까지! 이때 신청하면 학기 초부터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요. 이후에도 연중 상시 신청은 가능하지만, 신청 시점 기준으로만 지급됩니다. 온라인은 복지로, 교육비원클릭에서 가능하며, 오프라인은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 온라인 신청: 복지로 또는 교육비 원클릭 사이트
  • 오프라인 신청: 주민센터 방문 후 서류 제출
  • 준비 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4. 교육급여 심사 절차 및 지급 방식

신청했다고 바로 지원금이 나오는 건 아니에요. 교육급여는 소득·재산 조사 → 대상자 확정 → 지급의 과정을 거칩니다.

주민센터에서 신청을 접수하면, 시·군·구에서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조사하고, 학교에서 대상자로 확정한 뒤 한국장학재단이 바우처 형태로 지원금을 지급하는 구조예요.

단계 내용
1단계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접수
2단계 시·군·구에서 소득 및 재산 조사
3단계 학교를 통해 대상자 최종 확정
4단계 한국장학재단에서 바우처 지급

5. 교육비 지원과의 차이점, 무엇이 다를까?

“교육급여랑 교육비 지원, 뭐가 달라요?” 하고 묻는 분들 많아요.

둘 다 교육 관련 지원이지만 기준과 예산 출처가 다릅니다. 간단히 말하면 교육급여는 국가복지 차원, 교육비는 시·도교육청 차원의 지원이에요.

  • 교육급여: 기초생활수급 대상 (중위소득 50% 이하), 전국 공통 기준
  • 교육비 지원: 시도교육청 예산,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가능
  • 둘 다 신청 가능! 중복 수혜 가능함

6. 교육급여 외 추가 지원 프로그램 모음

교육급여 외에도 놓치면 아쉬운 교육 지원 프로그램들이 있어요. 함께 신청하면 훨씬 든든해져요. 아래 리스트 확인해 보세요!

  • 방과 후학교 자유수강권: 방과후 프로그램 비용 지원
  • 교육정보화 지원: 교육용 PC 무상 지원, 인터넷 요금 지원
  • 늘봄학교 프로그램: 초등 저학년을 위한 돌봄 연계형 수업 운영

자주 묻는 질문 (FAQ)

Q 교육급여와 교육비 지원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네! 교육급여 수급자는 추가로 교육비 지원도 받을 수 있어요. 둘 다 신청해 두면 혜택이 더 늘어납니다.

A 중복 수급 OK
Q 신청 결과는 언제 확인할 수 있나요?

보통 신청 후 4~6주 이내에 결과가 나와요. 복지로 홈페이지나 앱, 혹은 주민센터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A 1~2개월 내 통보
Q 매년 교육급여를 다시 신청해야 하나요?

아니요, 수급자로 선정되면 자동 갱신돼요. 다만 바우처 사용을 위해서는 매년 시스템 내 신청은 따로 필요할 수 있어요.

A 기본은 자동, 바우처는 별도
Q 작년에 받았는데 올해도 다시 신청해야 하나요?

기존 수급자는 별도 신청 없어도 자격 유지됩니다. 단, 바우처는 매년 신청해야 하니 꼭 확인하세요.

A 자격 유지, 바우처는 다시
Q 교육급여가 거부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거절 사유를 먼저 확인한 후, 보완 서류를 준비해 이의신청할 수 있어요. 구두 또는 서면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A 1회 이의 신청 가능
Q 결과 확인은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

복지로 홈페이지 ‘나의 복지급여’ 또는 복지로 앱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전화로도 문의 가능해요 (☎129).

A 복지로 또는 129

지금까지 2025년 초등학생 교육급여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어요. 특히 중위소득 기준만 충족하면 꽤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까 꼭 신청하셨으면 해요.

혹시라도 궁금한 점 있으시거나, 직접 해보신 경험 있으시면 댓글로 자유롭게 나눠주세요. 우리 같이 정보 공유하면서, 실속 있는 한 해 만들어봐요!